Studio Nanji

  • Title
    “FUSION 304” with 11 Artists
  • Date
    2008.03.04 ~ 03.16

“FUSION 304” with 11 Artists  2009.3.4-3.16

참여작가 : 조병왕,임선이,이장원,이승현,성유진,변웅필,박혜수,민재영,라유슬,김재옥,김윤아

장소 : 그림손 갤러리 _ 인사동

일정 : 2008.03.04 ~ 03.16

2009003_artState.jpg



“FUSION 304” with 11 Artists (2009.3.4-3.16)
View : http://www.sungyujin.co.kr/2322

김윤아 Kim, Yun-Ah
공간과 공간을 잇는 또는 형상을 이루기 위한 실들의 반복과 집합은 관계를 의미하며 그로 인해 보여지고 생성되는 형상 또는 이미지는 인간, 사물의 존재이다. 이렇게 자신을 포함한 주변의 존재 인식을 독립된 그 자체가 아닌 그것이 놓여진 관계 안에서 해석하고 인식하며 인간의 자유롭고자 하는 고고한 의지 또한 이것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자신의 주체이고자 스스로 이고자 하는 의지는 관계 안에서 더욱 빛나며 인간의 가능성을 여기에서 찾는다.

김재옥 Kim, Jae-Ok
몸대륙(Body Continental)
자연과 인간을 관조의 시선으로 편안하게 바라보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인간의 이기심을 고발하며, 자연의 경고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강한 조형언어로 말하고 있고, 이것이 작품의 표면에서 보여지는 그로테스크한 표현인 것이다. 또한 작업의 또 다른 중요한 하나는 방법적인 부분인데, 염색과 유채의 혼합사용에 있다. 염색은 소금염과 바틱기법에 의해 피부나 실핏줄과 닮아 있는 다양한 자연적 문양을, 유채는 형상을 표현하기에 적합한데 이 둘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작품에 대한 관심과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으며, 이는 재료와 형식의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라유슬 Rha, Yoo-Seul
작업은 주로 기억에 대한 서술이며, 시간 속에 존재하는 현상들은 나의 의식의 다양한 층위를 이루고 기억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결과적으로 작품의 제작순서를 알 수 없는 투명하게 중첩되어 있는 물감의 막들이 총체적으로 기억되어진 시간성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Move연작들은 ‘움직이다’라고 하는 말에 담긴 시간성과 공간성을 표현하고자 하며, 앞서 말한 이미지들의 시간성과 움직이는 시점에 따른 공간성에 대한 탐구로서의 결과물들이다.

민재영 Min, Jae-young
모여 사는 생활은 주로 건물이나 공공장소간의 이동이기도 하지만, 그 와중에 무수한 타인들과 만나고 부딪고 스쳐가고 같이 휩쓸리기도 하면서 자아내는 일종의 군집생활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 움직임이 드러내는 시공간적 동질감, 心象的 징후(그걸 어떻게 느끼는가)에 관심을 두고, 부유(浮游)하는 인간 군상 이미지의 파편들을 잠시 정지시킨 채로 그 단면을 들여다보듯이 공중에서, 또는 사선 위에서 잡은 시선을 주로 유지한다.

박혜수 Park, Hye-Soo
일반적으로 작품은 “시간 속의 삶”에 대해 이야기해 왔으며, 그것을 주로 선(line)을 이용한 설치작품으로 보여 오고 있다. 관객 없이 홀로 존재하는 작품이 없듯, 사람과 공간의 반영 없이 변치 않는 작품도 의미가 없다. 삶과 시간에 대한 주제는, 그것은 일종의 자신만의 인생 혹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이지만, 인생에 있어 누구나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풀리지 않는 의문에 대해 결국은 삶을 통해, 살아보아야만 답을 알 수가 있듯이, 질문으로 시작한 작품이 사람들의 삶에서 언젠가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데 작은 건드림이 되었으면 한다.

변웅필 Byen, Ung-Pil
화면에 표현된 얼굴들은 의도적으로 일그러트려지거나 뭉게지고 또는, 다른 사물과의 조합으로 인하여 “나만이 가진 내 얼굴” 고유의 이미지를 잃어버리거나 그것이 희미하도록 보여진다. 이런 개체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과정을 통해 얼굴은 새로운 낯설음으로, 흉측함으로 그리고 때로는 우스꽝스러움을 지닌 새로운 이미지로 재 탄생된다. 이렇게 얼굴의 개체로 인식이 되어지는 형상과 낯설은 형상의 부딪힘에서 얻어지는 시각적 새로움이 흥미로운 모티브가 된다.

성유진 Sung,Yu-Jin
내 그림 속에서 고양이 눈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있거나, 굳게 닫혀있다. 팔과 다리들의 관절들은 비정상적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여있다. 사물들(집, 식물, 공간 등)은 일그러져 부서지거나, 고양이의 몸과 결합되었다.고양이 인간은 인간도 고양이도 아니다. 기이하고 알 수 없는 존재는 그림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구도는 종종 대칭을 이루며, 내가 전공 하였던 전통 불화에서 나타나는 방식이다. 고양이 눈 속에 만다라 형상의 패턴이 톱니바퀴처럼 돈다. 현혹스러운 눈 안에 의식은 있지만, 그 세계는 너무나 모호하고, 이해 할 수 없다. 나와 내가 속한 세계는 불안을 만들어 내지만, 그 불안이 어디서부터 오는지 알 수 없다. 이 모호한 것이 또 다른 불안을 만들어 낸다.

이승현 Lee, Seung-hyun
작업은 미지의 생명체를 만드는 것이며, 미지의 생명은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태어나고 자란다. 그들이 자라는 과정은 경험으로부터 연상된 이미지들이 살을 붙여 나가는 무의식의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숨어있던 이미지의 파편들이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서 슬그머니 나타나서 생각지도 못했던 기이한 생물의 형상으로 자라가는 것이다. 이 꿈틀거리는 몸부림은 유기적 구조를 지니면서도 이물스러워서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로 드러난다. 의식이 소멸하는 지점에서 임의적으로 생성되고 이어달리기 하듯이 연상 작용이 거듭해서 일어나며 방향성마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생장점을 통해 끝없이 증식하여 가는 작업인 것이다.

이장원 Lee, Jang-won
썬트레이서(sunTracer)는 지구 여러 장소에 뿌리를 내리거나 부유하면서 태양의 질서에 동참한다. 계절의 변화, 물의 이동, 동식물의 움직임이 태양의 질서에 순응하듯이 썬트레이서는 GPS데이터에 근거해 연역적으로 계산된 태양의 궤도를 추적한다. 이러한 풍경의 중심에 존재하는 공통적 도상으로서의 태양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다원화된 동시대를 사는 나에게 보편적이고 영속적인 의미를 환기시켜준다.

임선이 Im, Sun-Iy
드로잉에 대한 단상
⌜Trifocal sight⌟ 즉, 세가지 焦點의 視線은 현대인의 신경증적이고 불안한 시선을 의미하며, 이는 현대적 풍경을 근, 중, 원경으로 동시에 담아내는 시선의 다중적 포착을 통해 나타나는 메타포적 혼돈이다. 붉은 눈으로 본 산수 시리즈의 연장선상에서 다음 작업에 행할 작품들은 주변을 관찰하며 채집한 이미지의 새로운 해석과 다양한 현대사회의 양상을 풍경의 시각적 인식을 통해 바라보기라는 행위 그리고 바라보는 주체의 모순된 양태에서 얻어지는 山水의 모호한 위치를 Trifocal sight으로 포착하는 인식에 관한 흔들리는 눈에 의한 보기의 드로잉이다..

조병왕 Cho, Byung-Wang
기하학적 칼 드로잉 시리즈는 캔버스에 감색법의 삼원색 사이안(cyan), 마젠타(magenta), 엘로우(yellow)를 형광안료로 그림을 그리고 그것을 사진으로 찍어 다시 초 광택 컬러 인화지위에 인화한 뒤, 칼과 자를 이용하여 사진의 표면 위를 긁어 수 천 개의 수평선을 창출하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갖는다. 이것은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잔액의 부족이나 기계적 결함으로 파생되는 예상치 못한 에러들이 창출하는 불규칙한 선, 패턴 및 색감들을 컴퓨터에 입력된 프린트 명령어가 프린터에 보내지는 과정에 대한 불순종의 행동 - 자유의지로 인식한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